• 2023. 12. 12.

    by. 스캐슬

    반응형

     

     

    생활에 필요한 정보만을 드리는 스캐슬 입니다. 정부에서 청년 주택드림 통장을 통해 청년들에게 혜택을 주기로 하였습니다. 청년들에게 어떻게 주거의 부담을 줄여 줄 수 있을지 오늘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입기간 1년만 넘게 되면 이자율 2% 내외, 최대 40년간 분양가의 80%까지 주택구입자금을 빌릴 수 있다고 하니 좋은 조건 임에는 틀림없어 보입니다.

     

    청년 주태드림 청약통장

     1.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은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에서 새롭게 출시하는 금융 상품 입니다.

     

    기존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상위 버전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가입조건과 혜택이 많은 부분에서 좋아졌습니다.

     

     

     

     2.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조건

     

    기존 우대형 통장과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비교하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나이 기준 만 19세에서 만 34세 만 19세에서 만 34세
    연 소득 기준 연 3,600만원 연 5,000만원
    주택 수 무주택 세대주 무주택자
    월 납입 한도 50만원 100만원
    중도인출기능 없음 1회 가능

     

    1. 연소득 기준이 연 3,600만 원 이었던 기존 우대형과는 달리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경우 연 5,000만원까지 가입 제한이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 근로소득자: 최근 1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기준

    - 사업소득자: 최근 1년 사업소득원천징수 영수증 기준

     

    2. 무주택 세대주에서 무주택자로 변경되면서 부모님께서 소유한 자가에서 살고 있는 청년들까지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그전 우대형 통장에 가입하려면 '세대분리'를 해야만 하는 것에 비해 가입 장벽이 많이 낮아졌습니다.

     

    3. 월 납입한도가 50만 원에서 100만 원 까지 납입 까능해졌습니다.

     

    4. 기존에는 중도인 출이 불가능 했지만, 주택드림 통장의 경우 1회 중도인출이 가능해졌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이자율 연 4.3% 연 4.8%
    추가혜택 - 청약에 당첨 되었을 경우
    주택 구입자금 장기,저리대출
    출시 예정일 - 2024년 2월

     

    1. 이자율 4.3% 에서 4.5%로 상향되었습니다.

     

    2. 주택 청약 당첨 시 '청년 주택드림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전환 방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의 경우 청년 주택드림 통장으로 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 전환 됩니다. 그러면 일반 청약통장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존 통장을 해지 후 청년 주택드림 통장으로 전환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전환가입을 하시면 기존의 납입기간, 납입금액, 납입 회차를 연속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4.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대출 조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통해서 청약에 당첨된다면  '청년주택드림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결혼이나 출산 시 에는 추가 금리 인하까지 가능하다고 하네요.

     

    • 대출 대상자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청약 당첨된 자
    • 대상 주택 - 6억 원 이하
    • 대출 한도 - 최대 분양가의 80% 까지 대출
    • 대출 금리 - 최저 연 2.2%
    • 대출 기간- 최대 40년
    • 금리 혜택- 결혼 시 0.1%, 첫아이 출산 시 0.5%, 추가 출산시 1명당 0.2% 추가 금리 인하 혜택이 주어집니다.(최대 1.5%)

     

     5.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취급은행

     

    취급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경남은행

     

     6. 우려 사항

     

    - 현실적으로 서울이나 수도권 청약의 경우 대부분 6억 원을 넘어가는 것이 현실입니다.

    - 현재 4%대 금리를 주고 있는 금융 상품이 많아 금리적인 면에서는 크게 메리트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지속적인 가계부채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택담보 대출 증가는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